바이오메디컬학과 조윤신 교수 공동 연구, 세계적 학술지 ‘네이처 메디슨(Nature Medicine)'에 등
  • 작성자 : 커뮤니케이션팀
  • 조회수 : 250
  • 작성일 : 2025.07.29
첨부파일이(가) 없습니다.
한림대 바이오메디컬학과 조윤신 교수 공동 연구,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 메디슨(Nature Medicine)’에 등재
 
- 유전체 정보 기반 체질량지수에 대한 다유전자점수 개발
 
<사진: 한림대 조윤신 교수>
 
 한림대학교(총장 최양희) 바이오메디컬학과 조윤신 교수가 공동 저자로 참여한 논문(제목: Polygenic prediction of body mass index and obesity through the life course and across ancestries)721일 국제저명학술지인 네이처 메디슨(Nature Medicine)지에 게재됐다.

 본 연구는 다국적 연구진들과 공동으로 수행된 국제 협력연구로 GIANT (Genetic Investigation of ANthropometric Traits) 컨소시엄과 23andMe에서 수집된 미국, 유럽, 동아시아, 남아시아와 아프리카 인종들을 포함하는 약 510만명에 대한 유전체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한 체질량지수(BMI, Body Mass Index)에 대한 유전체 전체 연관 데이터를 활용하여 다유전자점수를 개발했다.

 본 연구에서 다유전자점수는 체질량지수에 대한 다양한 유전적 변이의 영향을 합산하여 계산되었는데, 이 점수는 개인의 체질량지수에 대한 유전적 성향을 추정하여 비만을 예측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, 예측 강도는 여러 연령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조사됐다.

 본 연구에서 개발된 체질량지수 다유전자점수는 유럽인종의 경우 체질량지수 변동의 17.6%를 설명했으며 이는 기존에 유럽 인종을 기반으로 개발된 다유전자점수와 비교하면 두 배 증가한 수치이다. 동아시아 인종에 대해서는 개인의 체질량지수의 16%를 설명한데 반하여 아프리카 인종에 대해서는 2.2%로 가장 낮았다.

 또한 다양한 연령대에서 체질량지수에 대한 다유전자점수의 예측력을 조사한 결과, 성인 초기에 예측력이 가장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며, 이 발견은 성인이 되었을 때 비만 발병의 유전적 위험이 높은 어린이와 청소년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고, 어린 나이에 비만 예방을 위한 생활 습관 개입이나 기타 표적 예방 전략의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연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.

 조윤신 교수는 본 연구에서 새로 개발된 체질량지수 다유전자점수는 현재 이용 가능한 다유전자점수에 비해 비만 예측에 상당히 개선된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.”, “특히 생애 전반에 걸친 체질량지수의 동적 특성을 고려할 때 인구집단에서 더 높은 비만 위험군을 식별할 수 있는 높은 예측력을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비만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.”고 말했다.
 

총 게시물 : 22

페이지 : 1/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