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체의 혁신: 3대 융합클러스터가 제시하는 미래의 대학
3대 융합클러스터 기반의 대학구조 정립
- 대학 내 전 학문 분야를 3개의 융합클러스터 산하로 분할 배치
- 각 클러스터에서 산하 모든 전공의 교원인사 및 교육·연구·지산학협력을 종합 관리

창의융합인재 양성체제 구축
-
-
역동적인 재조립이 가능한 융합 교육체제
- 기존의 학과나 전공을 소단위 전공으로 개편
- 산업체 수요를 충족시킬 교육 모듈 확대
- 미래수요 대응 융합전공의 신속하고 유연한 개설
- 완전히 새롭고 독창적인 융합전공 탄생 가능
-
수요자 중심의 교육 선택권 확대
- 자유전공 모집단위인 메타전공학부를 신설하여 3대 융합클러스터가 제공하는 다양한 전공의 탐색 및 융합전공 이수체계 운영
- 입학생 모집단위의 단계적 광역화 및 전공 선택 자율성 무제한 보장
- Al 어드바이저의 도움으로 자유로운 경험 중심 전공 설계 및 이수 지원
-
-
융합클러스터 중심 교원인사제도
-
전임교원
클러스터 우선 소속 후 학과/전공 겸임
- 교원의 채용, 업적평가는 클러스터에서 담당
- 학과 간 칸막이 해소 및 기득권 축소
-
클러스터 전문인력
클러스터 전임연구원, 산업체 겸임교원 채용
- 지역과 산업체 문제 해결
- 입학생글로벌 수준의 연구 성과 창출
- AI, 신약개발 등 첨단분야 우수교원 확보를 위한 연봉제 확대 운영
- 연구 또는 산학 분야 상위 20% 이내 우수교원의 재직기간 연장 및 지원
- 글로컬 산학협력 활동 및 성과와 연동한 교원 연구년제도 혁신